정의

어떤 에 대하여, 어떤 공집합이 아닌 집합 가 벡터합()과 스칼라곱()이 정의되어 다음의 성질들을 만족할 때 이러한 와 같은 집합을 위의 벡터공간vector space 이라고 하고, 그 원소들을 벡터vector라고 합니다.

성질

  • 벡터합 에 관한 성질
    • (벡터합의 결합법칙)
    • (벡터합의 교환법칙)
    • (벡터합의 항등원의 존재성)
    • (벡터합의 역원의 존재성)
  • 스칼라곱 에 관한 성질
    • (곱셈과 스칼라곱의 Compatibility??)
    • (곱셈의 항등원은 스칼라곱의 왼쪽 항등원)
  • 분배법칙
    • (벡터합과 스칼라곱의 분배법칙)
    • (덧셈과 스칼라곱의 분배법칙)

스칼라곱의 기호는 보통 생략됩니다. 즉, 와 같이 쓰기도 합니다

예시

  • 어떤 체 중쌍(-튜플) 집합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 벡터합과 스칼라곱에 의해 벡터공간을 이룹니다.
    • 아마 가장 기본적으로 알려진 ‘벡터’는 아마 이것일 것입니다. 사실 나중에 살펴볼 기저좌표에 의해, 위의 유한 차원 벡터공간은 과 동형이 됩니다.
  • 복소수 집합 는 실수 집합 위의 벡터공간을 이룹니다. 벡터합과 스칼라곱은 우리가 익히 아는 그 곱셈과 덧셈으로 정의하면 됩니다. 복소수는 두 개의 실수, 실수부와 허수부로 표현할 수 있으니, 아마 실수의 순서쌍(즉, 2-튜플)과 동형임을 유추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.

부분공간

위의 어떤 벡터공간 의 부분집합 가 또한 벡터공간을 이룰 때, 이를 부분공간이라고 합니다. 다음을 만족하면 벡터공간의 성질을 만족하여 부분공간이 됩니다.

  • (가 공집합이 아님)
  • ( 안에서도 벡터합이 닫혀 있음)
  • ( 안에서도 스칼라곱이 닫혀 있음)

첫번째 조건은 로 대체하여도 동치입니다. 가 공집합이 아니고 나머지 조건을 만족하면 항상 영벡터를 가지고, 영벡터를 가지면 공집합이 아니기 때문입니다.

예시

  • 벡터공간의 영벡터 하나만을 가지는 부분집합 은 부분공간을 이룹니다.
    • 이를 자명한 벡터공간Trivial Vector Space라고 합니다. 벡터공간은 공집합일 수 없으므로, 가능한 벡터공간중 최소 크기를 갖습니다.
  • 벡터공간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의 생성은 부분공간을 이룹니다.